배철수(리눅스 월드 발행인)
|
1. 시작하기 전에 (1) 이 글에서 SuSE를 설치할 피시는 486DX2-66으로서 사양은 아래와 같다. - 메모리 : 16메가 하드디스크와 CD-ROM 드라이브를 모두 SCSI 방식으로 한 이유는 양쪽이 모두 IDE 일 경우 보다 조금 더 복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CSI 방식에서 설치 방법을 알면 IDE 방식일 경우는 훨씬 쉽다. (2) SCSI 셋업 SCSI 하드를 한 개만 단다면 SCSI ID를 0으로
잡아야 SCSI 하드로 부팅이 가능하다.(요즘 나오는 최신 콘트롤러는
셋업에서 부팅 ID를 지정한다) 그리고 하드디스크의 점퍼를 사용
터미네이션을 enable 한다. 본 가이드는 설치에 SCSI CD 드라이브를 사용하므로 SCSI CD를 SCSI 케이블의 마지막에 연결하고 하드는 중간에 연결했다. 하드의 scsi id는 0번, CD의 id는 2번으로 했고 SCSI 하드의 터미네이션은 disable 하고 CD는 enable 했다. SCSI 케이블에서의 연결 순서는 scsi id 와는 무관하다. 단 연결 순서에 따라 터미네이션이 달라진다. (3) CMOS 셋업 1) 하드디스크가 IDE 방식이면 LBA 모드로 만약 피시의 CMOS 셋업에 CD-ROM 부팅이 가능하면 부팅순서를 CD-ROM -> A -> C 로 한다. 그러면 부팅 디스켓 없이 바로 CD로 부팅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가이드에서는 일단 CD-ROM 부팅을 사용하지 않고 부팅디스켓으로 설치한다.
2. 설치 전에 알아야 할 기본 지식 리눅스는 설치 단계에서 많은 용어가 나온다. 설치 전에 미리 알아야 할 기본 지식을 설명한다. (1) 리눅스에서 장치명 ① 하드디스크 EIDE SCSI 파티션 피시의 하드디스크에 4개의 파티션만을 필요로 하면 4개를 모두 primary로 지정하면 된다. 이 경우 IDE 하드라면 hda1, hda2, hda3, hda4 SCSI 하드라면 sda1, sda2, sda3, sda4가 장치명이 된다.(장치명의 경우 앞에 /dev/를 붙인다) 피시의 MBR(Master Boot Record)에는 4개의
파티션만 등록된다. 따라서 5개 이상의 파티션이 필요하면 넷
중 1개를 extended 파티션으로 지정하고 이를 다시 논리 파티션(logical
partition)으로 나누면 된다. ② FDD raw device 플로피 디스크가 포맷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리눅스에서 플로피 디스크의 파라메터를 알 수 없으므로 이
경우는 아래 장치명을 쓴다.(즉 포맷할 경우) ③ CD-ROM 드라이브 ④ 콘솔(console) ⑤ pseudo tty ⑥ 시리얼포트(우측은 도스에서의 명칭) ⑦ 패러랠 포트 (2) 인터페이스 명 장치명과 비슷하나 장치명은 /dev 디렉토리에 그 장치에 해당하는 파일명이 존재해야 하나 인터페이스명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앞에 /dev를 붙이지 않는다. ① 랜카드 ② PPP
3. 설치전에 미리 확인해 두어야 할 사항 (1) 공통 1) 리눅스 피시의 하드디스크, CD-ROM
드라이브 타입 : IDE, SCSI (2) 리눅스 서버가
인터넷에 연결될 경우(Lan to Lan 방식) 1) 리눅스 서버에 부여될 호스트네임
4. 하드디스크 파티션 및 lilo 제거 이 글에서는 새 하드에 SuSE를 설치하는 경우만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에 이미 다른 리눅스 배포본이 깔려있는 경우라면
이를 지워야 한다. 다른 운영체제가 깔려있는 경우는 남겨 두어도
된다. 다른 리눅스의 루트 파티션 외의 다른 파티션을 그대로 남겨 놓고 깔수도 있지만 조금 복잡하다.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제거하거나 변경하면 모든 데이터가 지워지니 주의해야 한다. 파티션을 제거하려면 하드에 리눅스가 깔려 있다면 리눅스에서 fdisk를 사용한다.(윈95 부팅디스켓의 fdisk로도 가능하다) fdisk /dev/sda - 하드가 primary master에 연결된 ide라면
/dev/hda 이다. ◀ 주의 SCSI 하드의 경우 DOS 모드에서는 lilo나 리눅스 파티션을 지우기가 쉽지않다. DOS 모드에서 SCSI 하드를 인식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 lilo가 지워져서 리눅스로도 부팅이 안되면 어떻게 리눅스 파티션을 지울수 있는가? ftp.debian.org에서 resc1440.bin 파일과 rawrite2.exe 파일 두개를 받는다. 도스에서 포맷팅한 3.5인치 디스켓에 도스에서 rawrite2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resc1440.bin 이미지를 디스켓에 옮긴다. 이 디스켓을 rescue 디스켓이라 부르는데 데비안 설치에 사용하지만 비상용 부팅디스켓으로도 사용해서 망가진 하드디스크의 파일시스템을 수선하는데도 쓸 수 있다.(리눅스의 root 패스워드를 잊었을때도 이 디스켓으로 부팅, 패스워드를 바꿀 수 있다) 이 디스켓으로 부팅해서 쉘프롬프트로 나온후 fdisk /dev/sda 또는 hda명령을 써서 파티션을 제거할 수 있다.
5. 본 작업 (1) SuSE 패키지에 들어있는 bootdisk와 CD #1을 넣은 후 부팅한다. 화면 상단에 SuSE Linux 6.1 이 나오고 조금 시간(1분 정도)이 지난 후 화면에 뭔가 잔뜩 문자가 넘어간다. 이는 디스켓에 있는 설치용 커늘이 메모리로 로드되고 있기 때문이다. 잠시 후 화면 스크롤이 멈추고 “Please choose the language” 화면이 나온다. 힌트 1▶ 힌트 2▶ ◆ 참고 : -rwxr-xr-x 1 root root
750999 Jun 22 22:15 initdisk.gz 위에서 linux가 커늘(2.2.7)이다. 만약 설치에 사용되는 커늘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 파일을 바꾸면 된다. (2) Language
선택 SuSE는 영어, 불어, 독어, 이태리어 4개 버전으로 나오지만 이는 매뉴얼을 기준으로 한 경우이고 설치에서는 훨씬 많은 언어(16개)를 지원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아직 매뉴얼이나 설치 단계에서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English로 지정한다.(영어 보다는 독어나 불어 등이 더 자신이 있으면 해당 언어를 선택하기 바란다. 단 이 경우는 자신의 피시 키보드도 이 언어를 지원해야겠죠) 주] (3) Display 선택 “What kind of display do you use?”-칼라 사용 여부를 선택한다. (4) Keyboard
선택 “Please choose a keyboard map.” 이 나오면
키보드를 선택한다. English (US)를 선택한다. 조크] (5) Main menu 이제 메인메뉴가 나온다. 구성은 아래와 같다. [Main Menu] A -- [Settings] :
랭귀지, 스크린, 키보드 설정 (6) Kernel Modules
선택 설치에 사용할 하드디스크와 CD-ROM 드라이브가 (E)IDE 방식이라면 이 단계는 필요없다. IDE 드라이버는 설치용 커늘에 이미 포함되어 있기때문이다. SCSI 의 경우도 많이 쓰이는 콘트롤러는 이미 커늘에 들어있으므로 이 과정이 필요없다. 이 과정은 설치에 꼭 필요한 두 장치 즉 리눅스가 깔릴 하드디스크와 SuSE CD가 들어있는 CD-ROM 드라이브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설치를 FTP 또는 NFS 로 할 경우는 랜카드가 필수적이므로 랜카드 드라이버를 올리는게 필요하다. 따라서 비록 피시에 SCSI 콘트롤러가 있어도 용도가 스캐너나 테이프 장치를 위해 사용된다면 이 단계에서 커늘 모듈로 올려 줄 필요없다. 이는 나중에 설치가 끝난 후 잡아 주면 된다. 랜 카드의 경우 설치에 NFS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랜카드 모듈을 올려주는게 좋다. 이유는 설치 과정에서 랜카드 셋업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부분을 설치가 끝난 후에 해도 상관없다. [kernel modules] 메뉴 [Load SCSI module] : 디스크나
CD-ROM 드라이브가 SCSI 방식일때 선택한다. ① 본문서에서 하드와 시디드라이브 모두 SCSI 방식이므로 SCSI 모듈을 올려준다. (Advansys SCSI 콘트롤러 드라이버는 설치용 커늘에 들어있지 않다) Load SCSI module 을 선택하고 그 안의 SCSI 콘트롤러 모델을 고른다. 모델을 선택하면 파라메터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여기에는 IO port나 flag을 입력할 수 있는데 잘 모르면 그냥 엔터를 치고 넘어간다. 자세한 사항을 알려면 module-HOWTO 및 SCSI-HOWTO를 참고한다. 선택에 문제가 없으면 그 SCSI 콘트롤러의 각종 파라메터(IRQ, IO Address, DMA 등)가 화면에 잠깐 표시되고 <Module “XXXX” has been successfully loaded!>가 나온다. 다시 OK를 선택하면 <Kernel message> 란 타이틀 아래에 그 SCSI 장치의 상세한 설명이 나온다. ② 랜카드 드라이버를 올린다. 그런데 파라메터에서 아무것도 안 넣고 그냥
<엔터>하니 삑 소리가 나며 fail이 난다. 메시지를 보니
ne2000 PCI 카드를 찾지 못했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ISA 카드라면
파라메터 입력 화면에서 IO Address를 입력하란다. 커늘모듈 선택이 끝났으면 [Back]을 선택해서 메인메뉴로 나온다.(TAB 키를 누른다) 커늘모듈 메뉴에 나타나지 않은 장치를 설치시에 사용하려면 ( 리눅스 설치 CD를 넣을 CD-ROM 드라이브나 리눅스가 설치될 하드디스크만을 말함. ) modules 디스켓을 사용해야한다. ◆ 참고 : (7) [Start Installation
/ system]을 선택하면 [Start Installation / system]메뉴가 나온다. [Start Installation] 을 선택한다. *. CD#1을 CD 드라이브에 넣었는지 확인하시오. (8) [Please choose the source media] 메뉴가 나온다. [CD-ROM] 4개의 메뉴가 있다. 여기서는 CD-ROM 으로 설치하는 부분만 설명한다. (9) CD-ROM을 선택하면 “Preparing Installation” 메시지에 이어 [Type of installation] 메뉴가
뜬다 (10) 빈
하드에 새로 설치하는 경우이므로 Install Linux (11) Partition Harddrives 메뉴가 나온다. Do not partition 과 Partitioning 두 선택이 있는데 이미 파티션이 되어있다면 Do not partition을 선택한다. 여기서는 새 하드이므로 partitioning을 선택한다. (12) USE ENTIRE DISK 메뉴가 나오며 Partitioning과 Whole hard disk를 선택할 수 있다. Whole hard disk 는 디스크가 한 개 있을 때 전체 용량을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때는 자동으로 swap 및 linux 파티션이 만들어진다.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리눅스만 사용할 때 유용하다. 또 파티션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경우에 선택한다. 여기서는 Partitioning을 선택해서 수동으로 파티션을 잡는다. ◀ 주의 (13) Editing the partition table 메뉴가 나온다. 맨위에는 하드디스크 파라메터가 나온다. 이유는 리눅스 루트 파티션이 1024 실린더를 넘는 곳에서 끝나면 lilo를 사용해서 부팅할 수 없다. 즉 하드로 부팅할 수 없다. 이분은 나중에 수정이 불가능한 부분이니 특히 조심해서 진행해야 한다.. 박스가 두개 나오는데 위 박스는 fdisk 과정에서 에러메시지를 보여주는 곳이며 아래 박스는 현재의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보여준다. 새 하드라면 두번째 박스에 No partition available라고 나온다. 하드가 두개 이상이면 하드디스크를 선택해야 한다. 밑에서 두번째 줄에는 현재 선택 가능한 메뉴가 역상으로 표시된다. F1(help) 키를 누르면 사용법이 나오고 새 하드라면 F5키를 눌러 파티션을 새로 만들 수 있다. 1) F5를 누른다. 2) 현재 primary 파티션이 전혀 없으므로 sda1부터
sda4까지 넷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3) location of the partition이 나오고 Starting cylinder 와 End of cylinser를 넣는다. 실린더당 저장용량을 고려 수치를 결정한다.
잘 모르면 +64M 이런식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 하드디스크에서 파티션은 실린더 단위로 시작하므로
지정한 용량이 실린더 중간에 해당하면 그 실린더의 전체를 사용하도록
자동으로 용량이 변경된다. Device name from To
Blocks Partition type * from / to 는 시작 및 끝 실린더 번호이다. 비록 64메가를 지정했지만 64메가가 9번째 실린더 중간에 해당하므로 9번 실린더가 끝이다. * Blocks는 Block의 개수이다.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의 최소 저장단위는 block(1024byte)이다. * Partition type는 swap 과 native 중 하나이다.(이미 도스나 윈95가 하드에 설치되어있다면 partition type에서 확인할수 있다.) 3) 이 파티션을 swap으로 사용하므로 F3(Change type)를 눌러 type를 변경한다. 4) Enter the partition table 에서 Linux Swap을 선택한다. 5) 다시 F5를 눌러 파티션을 새로 만든다. 2번째 파티션은 Partition type가 Linux native가 되야한다. ◀ 주의 6) 파티션 설정이 끝난 후 [continue]에서
<enter>를 하면 파티션 테이블을 저장할거냐고 7) /dev/sda1이 Device name 밑에 선택되어 있다.
이를 swap으로 사용하므로 continue에서 8) creating filesystems 메뉴가 나온다. Linux의 기본 파일시스템은 ext2이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이를 바꿀 필요가 없다. 마운트 포인트는 linux native 파티션이 한 개면 당연히 “/”가 마운트포인트가 되고 2개 이상이면 한 개는 “/”에 나머지는 가장 많이 쓰이는 디렉토리들에 할당한다. /usr, /home, /var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bin, /dev, /lib, /etc, /sbin은 별도의 파티션에 지정할 수 없다. ① F4를 눌러 마운트ㅡ 포인트를 지정한다.
Mount point 메뉴가 나온다. Linux native ② F6를 눌러 각 파티션을 포맷한다. 도스에서도
fdisk 후에 format 명령을 쓰는 것처럼 format mode에는 세메뉴가 있다. A는 포맷 취소, B는 하드디스크 배드섹터를 검사 않는 포맷(mke2fs /dev/sda2), C는 배드섹터를 검사하는 포맷(mke2fs -c /dev/sda2)이다. C를 선택하면 시간이 B 보다 훨씬 많이 소요된다. (대 용량 하드라면 1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서버에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라면 꼭 C를 선택한다. ③ creating filesystems 메뉴에서 continue를 선택하면 다시 확인을 한 후 포맷을 한다. PLEASE Wait 파티션이 여러 개면 위 작업을 반복한다. *. 여기서 화면이 오랫동안 변화가 없어도 기다릴것. 하드디스크 인디케이터를 보면 하드가 계속 가동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지루하면 커피 한잔이나 담배 한대 피워도 충분할 것임. 설치 연습을 할 때는 그냥 B를 선택하면 시간이 많이 단축된다. 또 파티션을 조금만 잡는 것도 한 방법이다. (14) 포맷이
끝나면 mounting filesystem 메시지가 나오고 잠시후 Installation 메뉴가
뜬다. 지금까지의 작업으로 파티션 설정, 포맷, 파티션 별 마운트 위치가 결정되었으므로 이제 하드를 해당 위치로 마운트해서 본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진 것이다. 즉 CD의 패키지를 옮기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Installation] 메뉴이다. load configuration Index of all series and packages Install package Main menu (15) load
configuration 을 선택 여기서는 suse default system을 선택하는걸로 한다(약 220개의 패키지가 설치됨) 커서를 suse default system에 위치시키고 space키를 누르면 박스에 [x]가 나온다. 여기서 아래 메뉴가 add로 되있어야 한다. 만약 replace라면 기존에 하드에 설치되어있는 내용이 현재 선택한 내용으로 교체된다. <enter> 하면 Installation menu가 다시 나온다. (16) change/create configuration 을 선택하면 위에서 선정한 configuration에서 각 패키지별로 세부선택을 할 수 있으나 필수적으로 할 필요는 없고 나중에 할 수도 있다. 맨 왼쪽의 분류는 대분류이다. 이중에서 필요한 부분만 다시 선택한다. 해당 분류를 상하 화살표로 선택하면 세부 프로그램이 나온다. 이를 space키로 선택/비선택 한다. 선택이 끝난 후 f10 (17) start
installation을 선택하면 복사가 시작된다. *. 메모리가 16메가 이하이면 선택한 패키지 중 CD#1의 패키지만 먼저 설치된다. 설치가 끝나면 Installation complete 메시지가 뜬다. (18) 마지막의 Main Menu를 선택하면 SELECT KERNEL 메뉴가 나온다. 여기서는 커늘의 버전을 선택한다. 2.2.7 과 2.0.36 중에 선택할 수 있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2.2.7을 선택한다. (19) 커늘의 내용을 선택한다. 즉 자신의 시스템에 장착된 하드웨어(하드디스크와 CD-ROM 드라이브)에 맞는 커늘을 고른다. (20) 부팅디스켓을 만들겠냐고 묻는다.(CREATE a Boot disk?) 만드는게 좋다. 즉 커늘 선택을 잘못했거나 lilo 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이 디스켓으로 부팅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부팅 디스켓은 하드디스크 의 lilo 및 커늘과 별개이기때문이다. 포맷한 디스크를 넣는다.(DOS 포맷도 가능함) (21) LILO 설치 여부를 묻는다. lilo는 MBR 또는 리눅스 파티션에 위치하여 리눅스 부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하드에서의 부팅, 멀티부팅, 루트파일시스템 이나 부트 옵션 지정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22) YES를 선택하면 LILO INSTALLATION 메뉴가 나온다. ① 하드웨어 파라메터 선택 : 부팅시 잘 탐색되지 않는 장치에대한 파라메터를 지정한다. 예를들면 랜카드를 두개를 꼽거나 메모리를 128메가 이상 사용하는 경우 등이다. ② LILO 설치 위치 ③ boot delay 나 linear 은 손대지 않는다. 1) Configuration name 에는 이 설정에
대한 이름을 넣는다. 이 이름은 부트시 boot:에 2) Operating system 난에는 boot linux를 그대로 놔둔다. 3) Root partition to boot도 기정치를 그대로 쓴다.(본 가이드에서는 /dev/sda2) 4) Kernel to be booted .. 도 변경할 필요가
없다.(/boot/vmlinuz) 5) 리눅스 외의 다른 운영체제가 하드에
설치돼 있다면 lilo installation에서 그 운영체제 (23) timezone - > ROK -> local time (24) hostname
& domain name host name : Churlsu (25) loopback
or real network (26) Enter the
network address 메뉴가 나온다. ① Type of network 에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랜 표준을 선택한다.(보통 이더넷임) eth0 :
ethernet ② ip addresss, netmask, default gw는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해야 한다. 인터넷과 연결이 안돼 있으면 아래처럼 지정한다. Ip
address : 192.168.1.1 ③ ip address of ptp (27) start INETD? (28) start PORTMAPPER? (29) start NFS
Server? (30) Adjust
news from-address (31) access Nameserver? (32) Nameserver
configuration (33) sendmail
configuration A - Host with permanent network connection 대부분 A를 선택한다. 여기까지 왔으면 각 configuration 파일 셋업은 완료되었다. “The base system has been successfully installed
...” 메시지가 나온다. (34) 리부팅하면 root 패스워드를 넣는다. (35) setup
your modem (36) setup mouse (37) gpm 가동
여부를 묻는다. 설정이 맞으면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수 있다. (38) 메모리가
16메가 이하인 시스템에서 CD#2~4에 있는 패키지의 계속 설치 여부를
묻는다. (39) 끝난후 <TAB> 키를 누르면 Yast will terminate now 메시지가 뜬다. (40) <enter>하면 각종 셋업 파일의 허가 모드를 변경한다. (41) <enter>하면 runlevel 2(멀티유저모드)로 진입하고 “login: “ 프롬프트가 뜬다. (42) root로 login 해서 shutdown -r now 명령을 주면(bootdisk를 뺀다) lilo가 설치되어 있으면 하드디스크에서 부팅한다. 이상으로 SuSE 리눅스 패키지 설치가 완료되었다. ※ Xfree86은 아직 설정되지 않았다. |